변증법적 유물론에서 다뤄야 할 내용은 감정과 이성, 그리고 개념과의 관계입니다. 현대 심리학에서는 감정적 측면을 주요하게 다루고, 이성과 개념화된 이론을 경시하는 풍조가 있습니다. 이것은 인간이 객관진리에 가까운 본질을 파악하는 것을 방해하고, 현상에만 의존하여 과학적, 추상적 사유를 제약하기 위한 것으로 보여집니다.

그렇지만, 변증법적 유물론은 감정을 부정함으로써 감정에서 이성에의 이행과, 이성을 통한 개념을 형성하여, 감정과 이성의 대립물의 갈등과 통일, 그리고 이성에의 이행과 개념 형성을 중시하여, 인간이 본질인 객관진리에 가깝게 하고 있습니다.

레닌은 개념은 물질의 최고산물인 두뇌의 최고산물이다라고 언명하였습니다. 이것은 개념 형성이 단지 외적인 자연에의 외적모순만을 통한 것이 아닙니다. 내적으로 개념을 형성하기 위한 감성과 이성에의 대립, 그리고 대뇌피질 상 흥분과 억제라는 대립물의 갈등과 통일, 그리고 대뇌피질을 모자이크로 표현하여 모자이크들이 통일과 전체를 향해 끊임없이 운동하는 내적모순들로서 형성한다는 점 역시 중요합니다.

소결하자면, 인간의 개념 형성을 외적모순으로 볼 때는 자연과 인간과의 부단한 일반화, 추상화의 노력과, 내적모순으로서 인간의 대뇌피질 상에의 지속적인 모순과 감정과 이성, 흥분과 억제라는 대립물의 갈등과 통일 속에서 형성되는 주요한 것입니다. 여기서 외적모순과 내적모순 중에서 인간의 대뇌피질에의 생리적인 고차신경생리가 1차적입니다.

그렇다면, 이러한 인간이 내적에의 대뇌생리학적으로 형성한 또 외적으로 자연환경에의 모순으로 형성한 개념은 또한 법칙이 되어서 필연적으로 나타는 법칙화되고, 우연을 필연으로 전화시켜서 인간이 자연에서 우연하게 당한 것을 인식 상 필연으로 인간이 자연을 자기를 위해 복무시키는데 결정적 요인이 되었습니다. 우연이 필연으로 전화하면, 그에 따라 가능이라는 것이 생겨, 필연적 법칙에 의거하여 발생하는 가능이라는 것을 통해 현실이 펼쳐져서, 인간이 필연화된 개념으로 가능하다고 예측한 것이 현실로 구현되는 것은 인간 고유가 가진 특징입니다.

이 점을 동물과 비교하면 더욱 명확해집니다. 동물은 뇌 상에서 개념화하는 영역이 부족하여 단순히 소리만 낼 뿐이고, 인간은 개념화되어 일반화, 추상화된 단어와 그에 수반하는 구문화된 문장을 구사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이것은 동물 자체가 외적모순인 자연환경에의 적응을 위해 부단히 사냥 등으로 노력해도, 결과적으로 1차적으로 중요한 내적모순인 대뇌피질 상 고차생리학적 구조가 부재하여 결국 동물 자체는 자연에 우연적인 것에 수동적으로 당할 수 밖에 없게 처하기도 했습니다.

따라서, 결국 인간만이 가진 내적모순인 고차신경활동인 대뇌피질에의 작용을 통한 개념 형성은 외적모순인 자연을 극복하는데 상당한 도움이 되어, 인간과 동물을 구별하는 주요 지표라고 볼 수 있습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