변증법적 유물론에서는 감성적 인식을 매개하고 감성을 부정함으로써 이성적 인식에 도달할 수 있다고 보아, 감성과 이성의 모순과 갈등 속에서의 통일에 주력하고 있습니다. 이것은 감성적 인식이 부재하면, 이성적 인식도 부재하게 되어, 감성과 이성의 상호대립하는 것으로 변증법적 유물론이 해명하고 있습니다. 더욱 부연하자면, 감성은 인간이 사물의 외적 측면을 인식하는 단편, 표면적인 것이며, 이에 반해 이성은 인간의 이해력으로 획득하는 인식으로서 내적 연관성과 운동 발전의 합법칙 등을 인식하는 고차적 인식입니다.

그렇다면, 이것을 알기 쉽게 비유하기 위해서 수사기관과 기소기관으로써 구분할 수 있습니다. 수사기관인 경찰이나 특별사법경찰관은 1차적으로 범죄를 인식하여 그 사건의 범인을 체포하거나 고소를 받으면 고소인과 피고소인을 수사하여 범죄를 단편적, 표면적으로 인식합니다. 그 후, 수사기관은 기소기관인 검찰 등에 사건에 대해서 기소할지에 대해서 의견을 표명하여 송치합니다. 이에, 송치를 받은 기소기관은 사건을 법리적으로 이해하고 검토하여 그것의 기소가 합법칙적으로 법리에 의거 적합한지 부적합한지 판단한 후, 기소 처분을 하거나 불기소처분을 하게 됩니다.

여기에서 기소기관은 이후 사건을 법원에 기소하여, 법원에서는 사건을 심리하여 최종결정하는데, 이것은 변증법적 유물론에서 인간이 기존 지식을 추론, 추리하여 신규 지식을 형성하는 것으로, 법원이 판례를 형성하여 이후 감성과 이성에 영향을 미치는 복잡한 변증법의 인식의 도정으로 이해할 수 있습니다.

변증법적 유물론은 여기에 더해, 감성과 이성이 상호협력과 상호통일을 통해서 새로운 지식이 창출되고 변증법적 인식의 도정이 감성과 이성이라는 인식을 재조직화한다고도 보고 있습니다. 이 점 역시 수사기관과 기소기관, 법원에의 비유를 통해 설명할 수 있습니다. 사건이 검찰(이성)에서 불기소처분이 되면, 경찰(감성)이 요청하면 검찰이 경찰에 사건자료를 인계해야 한다고 하면서, 이성이 감성을 재조직화하고 감성 역시 이성에 의해 영향을 초래합니다. 또한, 사고과정에서의 비유는 법원이 신규 판례(변증법적 도정에 의한 신규 추론)를 형성하면 감성인 경찰과 이성인 검찰 역시도 그 판례에 의거, 1차적으로 범죄 인식을 하는 경찰이 범죄가 아닌 것을 불송치할 수도 있고, 검찰 역시 새롭게 창출된 판례에 의거 사건을 불기소할 수도 있다는 것입니다.

변증법적 유물론에서 다뤄야 할 내용은 감정과 이성, 그리고 개념과의 관계입니다. 현대 심리학에서는 감정적 측면을 주요하게 다루고, 이성과 개념화된 이론을 경시하는 풍조가 있습니다. 이것은 인간이 객관진리에 가까운 본질을 파악하는 것을 방해하고, 현상에만 의존하여 과학적, 추상적 사유를 제약하기 위한 것으로 보여집니다.

그렇지만, 변증법적 유물론은 감정을 부정함으로써 감정에서 이성에의 이행과, 이성을 통한 개념을 형성하여, 감정과 이성의 대립물의 갈등과 통일, 그리고 이성에의 이행과 개념 형성을 중시하여, 인간이 본질인 객관진리에 가깝게 하고 있습니다.

레닌은 개념은 물질의 최고산물인 두뇌의 최고산물이다라고 언명하였습니다. 이것은 개념 형성이 단지 외적인 자연에의 외적모순만을 통한 것이 아닙니다. 내적으로 개념을 형성하기 위한 감성과 이성에의 대립, 그리고 대뇌피질 상 흥분과 억제라는 대립물의 갈등과 통일, 그리고 대뇌피질을 모자이크로 표현하여 모자이크들이 통일과 전체를 향해 끊임없이 운동하는 내적모순들로서 형성한다는 점 역시 중요합니다.

소결하자면, 인간의 개념 형성을 외적모순으로 볼 때는 자연과 인간과의 부단한 일반화, 추상화의 노력과, 내적모순으로서 인간의 대뇌피질 상에의 지속적인 모순과 감정과 이성, 흥분과 억제라는 대립물의 갈등과 통일 속에서 형성되는 주요한 것입니다. 여기서 외적모순과 내적모순 중에서 인간의 대뇌피질에의 생리적인 고차신경생리가 1차적입니다.

그렇다면, 이러한 인간이 내적에의 대뇌생리학적으로 형성한 또 외적으로 자연환경에의 모순으로 형성한 개념은 또한 법칙이 되어서 필연적으로 나타는 법칙화되고, 우연을 필연으로 전화시켜서 인간이 자연에서 우연하게 당한 것을 인식 상 필연으로 인간이 자연을 자기를 위해 복무시키는데 결정적 요인이 되었습니다. 우연이 필연으로 전화하면, 그에 따라 가능이라는 것이 생겨, 필연적 법칙에 의거하여 발생하는 가능이라는 것을 통해 현실이 펼쳐져서, 인간이 필연화된 개념으로 가능하다고 예측한 것이 현실로 구현되는 것은 인간 고유가 가진 특징입니다.

이 점을 동물과 비교하면 더욱 명확해집니다. 동물은 뇌 상에서 개념화하는 영역이 부족하여 단순히 소리만 낼 뿐이고, 인간은 개념화되어 일반화, 추상화된 단어와 그에 수반하는 구문화된 문장을 구사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이것은 동물 자체가 외적모순인 자연환경에의 적응을 위해 부단히 사냥 등으로 노력해도, 결과적으로 1차적으로 중요한 내적모순인 대뇌피질 상 고차생리학적 구조가 부재하여 결국 동물 자체는 자연에 우연적인 것에 수동적으로 당할 수 밖에 없게 처하기도 했습니다.

따라서, 결국 인간만이 가진 내적모순인 고차신경활동인 대뇌피질에의 작용을 통한 개념 형성은 외적모순인 자연을 극복하는데 상당한 도움이 되어, 인간과 동물을 구별하는 주요 지표라고 볼 수 있습니다.

 

물질 -> 객관적 실재로서, 인간 의식 외부에 존재하면서 인간 의식에 반영. 

 

레닌: 물질은 감각에 의해 인간에게 주어지는 객관적 실재를 가리키는 철핟적 범주이며. 이 객관적 실재는 우리의 감각에 의해 복사되고, 촬영되고, 반영되지만, 이 감각들로부터 독립되어 존재한다.

=> 세계가 인식됨을 강조, 인간 이성의 무한한 전망의 가능성 전개, 정신 자극을 통한 인간이 세상의 가장 깊은 비밀을 간파할 수 있도록 함.

 

물질이 1차적 -> 물질의 창조X, 물질의 파괴X, 물질은 현존하는 내적의 궁극적 원인 =>신의 존재X, 초자연적힘X

 

과학의 진보, 인간의 제 실천적 경험 -> 물질이 객관적 실재로서 존재함과 물질의 무한함을 증명 => 인간 주위의 세계는 물질세계

 

물질은 무 에서 나온다X, 흔적 없이 소멸X

 

한 사물의 파괴 -> 다른 사물의 산생 => 다른 사물의 파괴는 제 3의 사물 ==> 무한한 계속

 

 

+ Recent posts